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3월, 2017의 게시물 표시

인서트 크랙에 대한 내용 (Insert In-mold Crack)

인서트 크랙에 대한 자료입니다 . WorkingBear라는 분이 쓴 글을 번역한 것인데, 글 내용이 길어서 요약만 했습니다. 원문은 포스트 맨 아래 링크로 가시면 됩니다. 사출 성형 인서트크랙 예방을 요약 해보면 , 재생 수지 사용하지 말 것과 재생수지를 일부 섞지 말 것 인서트를 예열하고, 10분 기다린 후 인서트작업 할 것과, 사출 압력을 낮추고 냉각시간을 천천히 할 것. (동과 플라스틱 열팽창 계수 틀림 ; 플라스틱은 빠르게 냉각되나, 인서트는 계속 팽창이 되므로.) 설계 디자인 변경 (보스 주변 살두께 등) 베어링 압입 검토 (압입시 응력 균열 발생 여부 판단)

브러쉬의 전류밀도(A/㎠) 계산공식 전류값 공식

브러쉬의 전류밀도 (A/ ㎠ ) 전류밀도란 브러쉬의 접촉면 당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.   통상 전류밀도는 7 ~ 10A/ ㎠ 정도가 가장 적절한 수치이며 이하인 경우를 저부하이고 이상인 것을 중부하라고 한다 .         * 전류밀도 = 전류 ÷ ( 전체의 브러쉬 수량 / 2) ÷ 브러쉬의 두께 ÷ 브러쉬의 폭 - 카본 브러쉬는 + 극과 - 극이 있으므로 전체 수량을 2 로 나눈다 .   - 전류밀도는 정류자와의 접촉면이므로 브러쉬의 접촉면 즉 브러쉬의 두께와 폭을 나누어 준다 .   이때 단위는 ㎜를 ㎝로 환산한다 .  브러쉬 전류값 공식 1) 예시 가 ) 브러쉬 단면 : 5.5 X 8 나 ) 브러쉬 밀도 재질  (17A/cm2) 2) 전류값 공식 :  브러쉬 유효단면적  cm2 X  전류밀도 (A/cm2) X  접촉면 사용 효율 (%) 브러쉬  ( 가로  X  세로  mm) / 100(cm2) X  밀도 브러쉬  spec X  접촉면 (0.8: 80%) =(5.5*8) /  100 X 17 X 0.8 = 5.98A 

모터 브러쉬 전류값 계산 공식

브러쉬 전류값 공식 1)브러쉬 치수가 아래와 같다면, 가 ) 브러쉬 단면 : 5.5 X 8 나 ) 브러쉬 밀도 재질 (17A/cm2) *브러쉬의 밀도 재질은 브러쉬 제조업체의 사양서 2) 전류값 공식 :  브러쉬 유효단면적 cm2 X 전류밀도 (A/cm2) X 접촉면 사용 효율 (%) 브러쉬 ( 가로 X 세로 mm) / 100(cm2) X 밀도 브러쉬 spec X 접촉면 (0.8: 80%) =(5.5*8) /  100 X 17 X 0.8 = 5.98A 

로터리 엔코더의 원리 (광학식 센서) Rotary Encoder

로터리 엔코더 ( 광학식 센서 ) 마우스 중간버튼 휠에 적용된 것이 로터리 엔코더 광학 센서입니다 . 엔코더 정의 : 직선 또는 회전 변위를 디지털로 출력하는 대표적 센서 [로지텍 마우스 분해사진]

Dual Monitor Taskbar - 듀얼모니터에서 작업표시줄 복사, 확장하기

모니터를 2 개이상 사용하시는 분들 많아졌죠 ? 각각의 모니터에 작업표시줄을 나타낼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. 각 모니터에 사용하는 작업을 각각의 작업표시줄에 뿌려줍니다 . 셋팅 화면 . 왼쪽 작업표시줄을 Mirror 하여 오른쪽에도 나타날수 있다 . 홈페이지 , 다운로드 :  https://sourceforge.net/projects/dualmonitortb/